본문 바로가기
수면건강

영유아 코골이를 하지 않는 이유

by myinfo-find 2025. 3. 7.

영유아 코골이를 하지 않는 이유

오랜 시간 동안 다양한 연령대의 환자들을 진료한 수면전문가가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바로 성인들은 코를 골거나 수면무호흡증을 겪는 경우가 많지만, 아기들은 거의 코골이를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왜 아기들은 코를 골지 않을까요? 또한, 아기가 아플 때 깊은 잠에 빠지더라도 코골이나 무호흡증이 잘 나타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저의 아기도 언제나 어디서나 어떤상황에서도 코를 고는 모습을 본 적이 없습니다. 다만 코감기에 걸렸을때 그르렁 거리는 소리는 들어보았습니다. 이처럼 아기와 성인의 코골이가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신체 구조, 신경 발달, 수면 패턴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이 글에서는 아기들이 코를 골지 않는 이유와, 아플 때도 무호흡 증상이 적은 이유를 깊이 있게 분석해보겠습니다.

1. 아기들은 왜 코를 골지 않을까?

성인이 코를 고는 주요 원인은 기도(숨길) 폐쇄입니다. 코골이는 호흡을 할 때 공기가 기도 내의 좁은 공간을 지나면서 조직을 떨리게 만들어 발생하는 현상인데, 아기들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코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첫번째로 기도구조가 다릅니다. 신생아와 영아의 기도(목구멍과 후두)는 성인보다 상대적으로 넓고 짧습니다. 기도 주변의 조직(연구개, 편도, 혀뿌리 등)도 탄력이 좋아서 공기가 부드럽게 흐릅니다. 성인들은 나이가 들면서 기도 근육이 약해지고, 지방이 축적되면서 기도가 좁아질 수 있지만, 아기들은 아직 이런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아기들은 선천적으로 기도가 열려 있는 상태로 태어나며, 근육과 조직이 탄력적이기 때문에 쉽게 무너져 내려 기도를 막을 가능성이 낮습니다. 반면, 성인은 나이가 들면서 기도의 탄력이 줄어들고 조직이 처지면서 코골이와 무호흡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즉 아기들은 기도와 호흡기가 성장해가는 과정에 있기 떄문에 어떤자세나 상황에서도 코골이를 하는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입니다. 코골이는 기도의 탄력과 호흡문제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두번째는 혀의 크기와 위치입니다. 성인의 경우 혀가 뒤로 밀려 기도를 막아 무호흡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아기들은 혀의 크기에 비해 입안이 넓고, 혀가 앞으로 위치하여 기도를 막을 확률이 낮습니다. 특히 성인 비만 환자들은 혀에도 지방이 축적되어 기도가 더 쉽게 좁아질 수 있지만, 아기들은 체지방이 많아도 혀 크기가 작고 위치가 안정적이기 때문에 기도가 막히지 않습니다.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상당수는 혀뿌리가 기도를 막으면서 증상이 발생합니다. 반면, 아기들은 혀의 위치가 앞쪽에 있고, 크기도 기도 폐쇄를 유발할 정도로 크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적습니다. 실제로 성인들의 코골이를 잘 들어보면 혀가 뒤로 밀리며 컥컥대는 기침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세번째로는 아기들은 코로만 호흡하기 때문입니다. 신생아는 생후 약 6개월까지 거의 100% 코로 호흡합니다. 반면 성인은 입과 코를 모두 사용하며, 입으로 호흡할 경우 기도가 더 쉽게 막히게 됩니다. 코로 호흡하는 습관 덕분에 아기들은 기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코골이 발생 가능성이 줄어듭니다. 실제로 저도 입으로 숨을 쉴때 더 많은 코골이를 합니다. 치료를 위해 양압기를 착용할때 입을 막는것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그러나 아기들은 코로 숨을 쉬도록 설계된 생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입으로 숨을 쉬지 않기 때문에 기도가 불안정해지는 일이 적고, 자연스럽게 코골이도 적게 발생합니다.

2. 아플 때 깊이 잠들어도 코골이와 무호흡이 없는 이유

어른들은 감기에 걸리거나 몸이 피곤할 때 코를 심하게 골거나 무호흡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아기들은 열이 나거나 아파서 깊이 잠들어도 이런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아기들의 수면구조와 생리적인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첫번째, 아기들은 깊은 수면단계가 적습니다 성인은 수면 중 약 20~25% 정도가 깊은 수면입니다. 아기들은 깊은 수면 비율이 훨씬 적고, 렘수면(얕은 수면)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습니다. 렘수면에서는 근육이 이완되지만 완전히 처지지는 않기 때문에, 기도가 막힐 확률이 낮습니다. 반면 성인의 깊은 수면(서파수면) 동안에는 근육이 완전히 이완되면서 기도가 더 쉽게 좁아질 수 있습니다. 즉, 아기들은 성인보다 얕은 수면 상태(렘수면)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수면 중 기도가 막히거나 코를 고는 일이 적습니다. 두번째는 뇌의 산소감지 능력에 있습니다. 성인은 수면 중 산소가 부족해져도 즉각적으로 깨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아기들은 뇌의 산소 감지 시스템이 훨씬 민감하여, 산소가 부족하면 즉시 반응하여 호흡을 조절합니다. 즉, 기도가 일시적으로 좁아지더라도 아기는 스스로 호흡을 조절하며 기도가 막히지 않도록 조절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성인 환자들은 뇌가 산소 부족 신호를 감지해도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무호흡증세가 10초에서 많게는 30초까지도 지속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심각한 경우이며 실제로 심장마비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기들은 이 시스템이 매우 예민하게 작동하기 때문에 무호흡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것입니다.

3. 결론

물론 드물게 신생아 무호흡증(특히 미숙아에서 발생)이 보고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정상적인 발달을 보이는 아기들은 이러한 생리적 특성 덕분에 코골이나 무호흡이 거의 나타나지 않습니다.아기들은 성인과 다르게 수면 중 기도 폐쇄 위험이 적고, 호흡 조절 능력이 뛰어납니다. 하지만 만약 아기가 반복적으로 심한 코골이를 하거나 숨을 쉬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면, 반드시 소아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처럼 아기들의 건강한 수면은 부모에게도 큰 안심이 됩니다. 성장하면서도 이러한 건강한 수면 패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수면에 좋은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